요즘 청소 의뢰가 잘 들어오지 않고 있습니다. 청소 의뢰가 들어와도 실제 성사되는 경우도 줄었습니다. 사장님들은 어떠세요?
청소 의뢰가 안들어 오는 이유를 생각해봤습니다.
✅ 도입부: 한국 경제, 지금 어디쯤 와 있나요?
2025년 4월 현재, 한국 경제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여전히 흔들리고 있습니다.
2024년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2.0%에 머물렀고, 2025년 1분기 역시 전분기 대비 0.1% 성장에 그쳐 경기 회복 속도가 매우 더딥니다.
작년 8월 미국의 경우에도 저임금 근로자 일자리가 줄어들어 경기침체가 이미 예고되었습니다.
https://m.radiokorea.com/news/article.php?uid=448978
[리포트] 저임금 근로자 일자리 확 줄어.. 경기침체 예고편?
정확하고 빠른 뉴스 라디오코리아 뉴스 - 모바일
m.radiokorea.com
실업률 역시 불안한 상황입니다. 2024년 말 기준 전국 실업률은 3.8%, **청년 실업률은 5.9%**로 최근 3년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일자리를 잃은 많은 이들이 자영업, 특히 진입 장벽이 낮은 청소업계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 출처: 통계청 고용동향
물가상승률은 다소 안정되었지만, 체감 경기는 여전히 냉각 상태입니다.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CPI)는 2.3% 상승, 2023년(3.6%) 대비 완화된 수치입니다.
💹 출처: Reuters 소비자물가
1️⃣ 청소업계 창업 증가: 공급 과잉의 시작
이러한 경기 침체 상황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청소업계로의 진입 증가입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사업시설관리업(청소 포함) 창업은 전년 대비 3.0% 증가했습니다. 반면, 전체 창업은 4.5% 줄었기 때문에 청소업계의 진입 증가가 더욱 두드러집니다. 개인서비스업 분야는 무려 8.0% 증가했으며, 이는 청소업이 생계형 창업의 대표 업종으로 떠오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https://www.mss.go.kr/site/smba/ex/bbs/View.do?bcIdx=1057029&cbIdx=86&parentSeq=1057029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중앙회 등 기관 중소기업 조사, 통계 DB화 검색, 내려받기 등 제공.
www.mss.go.kr
청소업계는 기존에도 경쟁이 치열한 분야였지만, 공급이 늘어나며 과잉 상태로 접어든 것이 현재 시장 위기의 시작점입니다.
청소업계에 일을 줄 수 있는 제조업, 부동산업, 도매 소매업, 건설업은 코로나 이후로 경기악화로 그 수가 감소했습니다.
다른 산업은 모두 감소했지만 청소업이 포함된 산업시설관리업은 증가했습니다.
2️⃣ 가격 경쟁 심화: 단가 하락, 수익성 압박
공급이 늘어난 만큼 가격 경쟁도 극심해졌습니다. 특히 2023년과 2024년의 비교를 통해 청소업 단가가 얼마나 하락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챗gpt에게 청소 단가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그랬더니 이렇게 데이터를 주네요. 실제 출처는 챗gpt도 모른답니다. 어느 블로그에서 봤다고만 하네요.ㅠ.ㅠ
사무실 바닥 청소 (평당) | 1,500원 | 1,350원 | -10% |
공공시설 화장실 청소 (1회) | 25,000원 | 22,500원 | -10% |
외벽 유리 청소 (㎡당) | 3,000원 | 2,700원 | -10% |
위 데이터에 따르면 20평 사무실 기준으로 바닥청소를 하면 1회 3만원에서 2만7천원으로 떨어졌습니다.
(신뢰성은 없습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정확한 데이터가 아닐지라도 요즘 체감상 그런 것 같습니다.
이렇게 단가가 하락한 이유는 당연히 신규 업체들의 저가 경쟁과 고객 유치를 위한 무리한 단가 인하가 그 원인일 것 같습니다.. 문제는 이러한 단가 인하가 단순한 영업 전략이 아닌 ‘생존 수단으로 쓰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결국 업체들은 비용 절감, 인건비 축소, 서비스 범위 축소 등의 선택을 하게 되며, 이는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규직보다는 단기 계약 인력을 활용하거나, 고급 장비 대신 저비용 장비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구조는 장기적으로 업계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고객 신뢰 하락, 직원 이직률 상승, 소모성 경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습니다.
3️⃣ 수요 감소: 경기 침체의 직접적 여파
청소업은 ‘있으면 좋은 서비스’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기 민감 업종 중 하나입니다.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비용을 줄여야 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이 ‘외부 용역 서비스 축소’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중소벤처기업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 도소매업 창업 -7.1%
- 숙박·음식점업 창업 -7.7%
- 부동산업 창업 -8.6%
즉, 청소 수요의 주요 고객층인 서비스 기반 자영업자들의 활동 자체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청소 서비스의 의뢰 건수 자체가 감소한다는 뜻이며, 경쟁은 치열한데 파이는 줄어드는 악순환에 빠진 셈입니다.
🧹 지금 필요한 것은 ‘전략적인 운영’
지금은 모든 청소업체가 수익을 극대화하는 시기라기보다는 버텨내는 시기입니다.
단가 경쟁에 휩쓸리지 않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서비스, 효율적인 운영, 고객과의 신뢰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또한, 급하게 일을 늘리는 것보다 현재의 고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전략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함께, 버팁시다
지금 청소업계에서 살아남는 것은 단순한 능력이 아닌 ‘버티는 힘’입니다.
단가 인하, 수요 감소, 경쟁 과열… 그 어느 하나 쉬운 문제가 없지만, 여러분이 지금까지 이 자리를 지켜오셨다는 것만으로도 이미 대단한 겁니다.
경기가 언제 회복될지 아무도 모르지만, 믿을 수 있는 품질과 고객 중심의 마인드는 어떤 시대에도 통합니다.
청소업을 사랑하는 여러분 모두, 오늘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앞으로도 함께 잘 버텨봅시다.
#청소업계현황 #청소단가하락 #가격경쟁심화 #서비스시장변화 #한국경제2025 #수익성압박
'청소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기청소 영업배상 책임보험 가입하기 (0) | 2023.05.17 |
---|---|
전문가용 청소기 PACVAC (0) | 2022.09.20 |
#4 바닥 걸레 사용법 (2) | 2022.02.08 |
#2 화장실청소 이 정도만 해도 됩니다. (1) | 2022.02.08 |
#1 쓰레기 분리수거 하기 (0) | 2022.02.08 |